옆집 매매가격은 얼마일까, 홈택스로 확인해 보자
우리 옆집, 앞집은 얼마에 팔렸을까
▶ 아파트 매매 시세에 대한 관심은 거주민 뿐만 아니라 일반 빌라 혹은 주택 거주자들 또한 지니고 있을 겁니다. 전원주택 혹은 빌라가 가지는 장점도 있지만, 아파트가 가지는 장점들이 상당히 많기 때문이죠. 보안 혹은 청결, 벌레, 인근시설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오늘은, 알고 싶은 아파트의 매매가격을 홈택스에서 알 수 있는 방법을 간단히 짚어보겠습니다.
▼ 먼저,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를 접속하면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제일 첫번째에 있는 조회/발급을 클릭하셔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 주세요, 다른 블로그들을 보면 아랫줄에 '상속/증여재산 평가하기' 항목을 클릭하라고 하는데, 현재는 연말정산 환급금 항목 때문에 보이지 않습니다.
▼ 조회/환급을 클릭하셔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 주시면, 아래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세금신고납부 목록을 보시면, 상속 증여재산 평가하기 항목이 있습니다. 메뉴가 많으니 이 부분을 잘 찾아서 클릭해주세요.
▼ 조금 귀찮은 과정이 나타났습니다. 바로 회원 로그인 단계 입니다. 컴퓨터에 공인인증서가 설치되어 있는 분들은 바로 로그인을 하시면 됩니다. 저는 농협과 우리은행은행에서 사용하느는 공인인증서가 있기 때문에 바로 로그인을 하겠습니다.
▼ 회원 로그인 혹은 비회원 로그인에 성공을 하시면, 상속 증여재산 평가하기 항목이 또 한번 나타납니다. 간단한 셜명을 보면, 토지, 공동주택, 개별주택, 일반건물, 상업용건물, 오피스텔, 상장수직 등의 증여재산 평가 정보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 여기서부터 세목과 상속개시일자, 부동산 소재지 등의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저는 서울 특별시 송파구 신천동 이라는 임의의 주소를 입력해보겠습니다. 한강이 보이는 아파트 등의 프리미엄 아파트 정보를 알고 싶으신 분들은 해당하는 주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다음 버튼을 클릭하시면, 아래 스크린샷의 화면이 나타납니다. 유사매매사례가액 찾기를 클릭하시면 해당 건물이름을 고르는 메뉴가 나타납니다. 이제 거의 다 왔습니다. 과정이 조금 길지만 인내를 가져주세요.
▼ 유사매매사례가액 찾기의 주의사항이 나타납니다. 본 시스템으로 유사재산 매매사례를 확인한 경우, 등기부등본을 열람하여 매매가액 등의 정보를 확인할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실제 서류로 확인할 경우, 조금 상이할 수도 있다는 얘기겠죠.
▼ 이제 끝이 보입니다. 기준시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시일지와 기준시가, 총면적, 전용면적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임시로 입력한 서울 송파구 아파트의 고시일자는 2017년 4월 28일입니다.
▼ 유사재산 유사매매를 보면, 기간내 물건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 동호수에 따라 조금씩 다르고, 매매계약일에 따라서도 시세가 다르겠죠. 동과 호수, 그리고 날짜에 따라 수백만원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