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 UHD620 성능 및 스펙 알아보기
인텔 UHD Graphics 620 성능, 사양
내장 그래픽의 퍼포먼스가 과거보다 많이 향상되긴 했지만, 그래도 아직은 맣이 모자른 편입니다. 괜찮은 성능이라고 알려진 라이젠 2200G, 2400G 또한 사실 롤, 오버워치, 배틀그라운드 등의 게임을 하기엔 많이 부족하고, GTX660, GTX760 등의 구형 그래픽카드들보다 성능이 많이 떨어집니다. 각종 광고에서 '잘 돌아간다' 라는 말을 믿고 롤퓨터(롤 컴퓨터)를 맞췄다가 낭패를 본 사례가 꽤나 많습니다. 인텔 노트북 혹은 데스크탑 프로세서에 많이 사용되는 내장 그래픽 UHD620 게임 성능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UHD620 성능을 보기 전에 먼저 스펙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그래픽 기본 주파수는 300MHz, 최대 동적 주파수는 1.11 ~ 1.15GHz 입니다. 그래픽 비디오 최대 메모리는 32GB 입니다. 메모리 용량을 꽤 높게 할당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 아마 이렇게 꽉 채워서 쓰는 경우는 거의 없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연결 인터페이스에 따른 해상도 관련 정보입니다. 4K는 60Hz에서 지원하고, 최대 해상도는 4,096 * 2,304 입니다. 연결 인터페이스에 따라 해상도는 동일하지만 주파수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성능을 최대한 사용하려면 디스플레이 포트(DP)를 사용해야 합니다. 24Hz, 60Hz는 생각보다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이제 게임 성능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오버워치를 기준으로, 현재 해상도는 1,280 * 720, 60Hz 입니다. 요즘은 풀HD 1920 * 1080을 기본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실 1280 * 720 해상도로 게임을 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10만원 미만의 저가형 모니터 또한 적어도 Full HD 해상도를 지원하곤 합니다. 게임에서의 인텔 UHD620 성능은 좋지 못하기 때문에 이렇게 설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은 게임 내 그래픽 품질 설정입니다. 오버워치가 낮음까지 있는지 매우낮은 까지 있는지 기억은 잘 나지 않지만 화면에는 LOW로 나타나 있습니다. 초당 프레임 저하를 일으킬 수 있는 여러효과들은 모두 OFF로 해놓은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픽 효과는 생각보다 여러가지가 있는데 어떤 것이 있는지 지금은 잘 기억이 나질 않네요.
본격적인 인텔 UHD620 성능을 보여주는 화면입니다. 현재 오버워치의 네팔 전장에서 게임이 진행되고 있는데, 윗 스크린샷의 D3D11 이라는 부분이 초당 프레임을 의미합니다. 프로세서가 i5-8250U, 그리고 지연시간(핑이 176ms인 것을 보니 노트북에서 와이파이 무선인터넷을 통해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초당 프레임은 13fps 입니다. 정상적으로 게임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닙니다.
다음은 렌더링 스케일을 50%로 줄였을 때 나타나는 인텔 UHD620 성능입니다. 렌더링 스케일 100% 에서 50%로 낮추면 그래픽카드가 처리해야 하는 양이 1/4로 줄어들게 됩니다. 절반이라고 해서 50%가 아니고, 화면의 가로, 세로가 같이 줄어들기 때문에 4분의 1, 즉, 25%가 됩니다. 줄어든 상태에서 또한 34fps 정도가 나오는데, 이것 또한 게임을 진행하기는 어렵습니다. 해상도를 줄이고 렌더링 스케일까지 줄인 상황이라 화면이 뿌옇고 번진것 처럼 나타납니다.
결론만 말하자면, 인텔 인텔 UHD Graphics 620 으로 3D게임을 하는 것은 포기를 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게임 성능이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각종 블로그 혹은 유튜브 영상을 보시면 '할만하다' 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게임을 제대로 한적도 없이 대충 확인만 하고 하는 말들이므로, 믿었다가는 나중에 후회할 수 있습니다. 만약 데스크탑 컴퓨터라면, 내장 그래픽카드로 게임을 하려고 하기보다는 적어도 GTX760, GTX960, GTX750 등의 그래픽카드를 추가 및 업그레이드 하셔서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