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를 추가했는데 컴퓨터가 켜지지 않을 때

하드디스크 추가 후 부팅 불가


▶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정말 생각치도 못했던 문제들이 간혹 발생하곤 합니다. 이미 해법이 널리 퍼져서 딱히 문제가 되지 않는 오류들도 있지만, 흔하지 않은 증상의 경우 상당히 골치가 아픕니다. 하드디스크를 추가했는데 컴퓨터 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가 간혹 발생하는데, 본인도 가끔씩 겪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데이터케이블 문제 확인

▶ SATA(사타)케이블의 고장으로 인한 하드디스크 문제는 생각보다 자주 있는 일입니다. '가만히 뒀는데 왜 문제가 발생하나' 라는 생각을 가지고 계실지도 모르겠지만, 가만히 둬도 혼자서 망가지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또한, 컴퓨터 조립시 무리하게 사타케이블을 휜다거나 꼬아놓는 경우 내부 단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렴한 제품은 1천원 정도면 구할 수 있으므로 한번 교체를 시도하는 것도 좋습니다.


 2.  바이오스 부팅 순서 확인

▶ 메인보드의 저장장치 포트들은 각자 번호가 있습니다. 보통 0부터 시작해서 4개면 3까지, 6개면 5까지 번호가 있죠. 보통 아무데나 막 꽂는다고 해서 순서가 없는 것이 아닙니다. 간혹 운영체제가 설치된 SATA포트가 뒷순위로 밀려나 있는 경우, 첫번째 순위에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추가해 버리면 부팅불가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재부팅 후 CMOS(시모스)로 들어가셔서 순서를 확인해 주세요.




 3.  하드디스크 불량 확인

▶ 여분의 하드디스크 혹은 SSD 등의 보조기억장치가 있다면 대신 연결해서 컴퓨터 부팅의 성공여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다른 HDD와 SSD는 부팅이 되는데 특정 제품만 부팅이 되질 않는다면 제품의 고장을 의심해 볼 수도 있습니다. 물론 절대로 발생하지 않았으면 하는 상황이죠.


 4.  외장케이스에 연결 시도

▶ USB 인터페이스 등을 사용하는 외장하드디스크 케이스를 구입해서 시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컴퓨터의 운영체제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외장하드디스크를 이용한 하드디스크의 작동이 성공한다면 제품의 문제는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겠죠. 물론 보유하고 있는 하드디스크의 가격보다 외장케이스의 가격이 비싸다면 구입하지 않는 게 좋을 것이라 봅니다.




▶ 여기까지, 하드 추가 시 부팅불가 현상에 대한 여러 해법을 간단히 알아봤습니다. 보조기억장치들은 사진 혹은 동영상, 이미지파일 등 소중한 자료들이 많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아주 곤란해집니다. 복구 업체를 이용할 경우 최소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 이상을 지불해야 할 수도 있으니, 소중한 자료들은 미리 백업을 해놓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저장장치의 가격이 그리 비싸지 않은 요즘, 몇만원만 투자하시면 더욱 안전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



▼ 컴퓨터 관련 글 ▼


댓글()